2025년 1월 ICT 수출 162.9억 달러… 반도체·SSD 호조
장원석
dailyfocus.co.kr@gmail.com | 2025-02-13 12:10:04
장기 설 연휴로 조업일수 감소… 전년 대비 0.4%↓
AI 반도체·SSD 수요 증가… 美·베트남 수출 강세
2025년 1월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62.9억 달러, 수입은 134.5억 달러를 기록해 28.3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장기 설 연휴(1월 25~30일)로 조업일수가 줄어 전년 같은 달(163.5억 달러) 대비 0.4% 감소했지만, 반도체와 컴퓨터·주변기기 수출 호조가 전체 감소폭을 제한했다.
반도체 수출은 101.4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하며 15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AI 서버 투자 확대에 따른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증가로 메모리 반도체(61.8억 달러)는 17.2% 성장했다. 반면, 시스템 반도체(34.8억 달러)는 4.3% 감소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도 9.3억 달러(10.0%↑)로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SSD(6.4억 달러) 수출이 27.1% 늘어나며 성장세를 주도했으며, 이는 AI 서버 및 데이터센터용 저장장치 수요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디스플레이(12.6억 달러, -16.1%), 휴대폰(10.1억 달러, -8.8%), 통신장비(1.6억 달러, -20.9%) 수출은 주요 시장 수요 부진으로 감소했다. 특히, 디스플레이는 가전제품 소비 둔화 영향이 컸으며, 휴대폰은 중국(6.1억 달러, 12.6%↑)을 제외한 시장에서 부진한 성적을 보였다.
국가별로는 미국(22.0억 달러, 24.6%↑)과 베트남(28.5억 달러, 12.2%↑)이 강세를 보였다. 미국에서는 서버·데이터센터용 반도체(8.2억 달러, 67.5%↑) 및 SSD(4.6억 달러, 72.9%↑) 수요가 급증했다. 베트남에서도 반도체(17.4억 달러, 45.2%↑)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중국(60.4억 달러, -19.5%)과 유럽연합(7.3억 달러, -18.9%)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진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ICT 수입은 134.5억 달러로, 반도체(77.4억 달러, 40.1%↑)와 컴퓨터·주변기기(15.4억 달러, 3.9%↑)는 증가한 반면, 디스플레이(3.6억 달러, -28.1%)와 휴대폰(6.1억 달러, -19.9%)은 감소했다.
[ⓒ 프랜사이트 (FranSight).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WEEKLY HOT
- 1AI 프랜차이즈 혁신 시리즈 ③ AI로 무장한 美 프랜차이즈, '개인맞춤 서비스' 혁신 경쟁 본격화
- 2[빵값 논란 5부작] ④ 소금빵 원가 800원+인건비+임대료... "합리적 가격은 2500원"
- 3AI 프랜차이즈 혁신 시리즈 ② "AI가 그려가는 美 외식산업의 미래, 데이터 기반 고객경험 혁신"
- 4[프랜인칼럼] "펜 팔아보세요" 90%가 실패하는 이유… 성공하는 '고객 심리' 공략법
- 5AI 프랜차이즈 혁신 시리즈 ① "美 프랜차이즈 AI 도입 현황, 맥도날드·스타벅스가 보여준 혁신 모델"
- 6[빵값 논란 5부작] ③ "자영업자 비난 의도 없었다"는 슈카의 해명,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