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판매에 의존하는 소상공인들, 새벽배송 제한에 ‘불안’ 고조
[프랜사이트 = 박세현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새벽배송 금지를 주장하자 소상공인 업계가 이에 대해 강력히 반대하며 철회를 요청하고 있다. 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은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와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해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새벽배송 제한과 주간 연속 2교대제 도입을 주장하며, 심야 배송의 노동 강도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새벽배송에 의존하는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판로 위축과 생존 위협을 초래할 것이라는 반발을 사고 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9일 논평을 내고 “민노총이 제기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새벽배송 제한 요구가 현실화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가 막혀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내수 부진과 역대급 경제 위기 속에서 온라인 판매를 통한 생존을 모색하는 소상공인들에게 이번 조치는 큰 불안감을 넘어서 생존의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소상공인들은 새벽배송으로 식자재를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아, 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직접 식자재를 구입하러 나가야 하고 이는 인력 충원과 물류 비용 부담 증가로 이어진다며 현실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한국로지스틱스학회는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 중단 시 택배 주문량 약 40% 감소로 인해 연간 54조30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 이커머스 업체 매출 감소가 33조2000억 원, 소상공인 매출 감소가 18조3000억 원에 이를 것이라 경고했다.
한편, 민노총 측은 새벽배송 금지 주장이 전면 금지로 와전된 부분이 있다며 오히려 5시 이후 배송 등은 유지되며 최소한의 수면 시간과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제한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쿠팡노조 등 일부 노동조합에서는 민노총 내 갈등 및 보복 차원에서 나온 주장이라며 반발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7일 쿠팡 배송 기사가 속한 쿠팡노조는 민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추진이 “쿠팡노조의 민노총 탈퇴에 대한 보복”이라고 해석했다. 쿠팡노조는 성명에서 “지금의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쿠팡노조가 민주노총을 탈퇴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쿠팡 노조는 민노총이 배송 기사들의 처우 개선에 힘쓰는 대신 정치 집회나 토론회 참석 등 정치적인 요구를 한다는 이유로 2023년 11월 탈퇴를 결정한 바 있다.
새벽배송은 2010년대 중반부터 쿠팡, 마켓컬리 등 이커머스 업체의 등장과 함께 대중화됐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수요가 급증해 현재는 국민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소비자 편의와 노동자 건강권이 충돌하는 가운데, 새벽배송 금지 논쟁은 온라인 경제 생태계뿐 아니라 노동 환경 개선 문제까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향후 사회적 합의를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프랜사이트 (FranSight).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